banner1
한국어


.

2014.05.11 22:12

잘못된 응급 상식

조회 수 12339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집에서 다치는 환자가 의외로 많은데요,
뜨거운 물에 화상을 입는다거나 문에 부딪쳐 이가 빠진다거나,
문턱에 걸려 피가 난다거나 하는여러 사고에 노출이 되어있죠

잘못된 응급 상식으로 환자를 잘못 다루는 경우가 있는데요,
잘못된 응급 상식엔 어떤 것들이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지금부터 시작할꼐요 ~~^^

1.jpg

화상을 당했을 때 얼음으로 식힌다
화상을 당했을 때 얼음을 피부에 직접 댈 시 2차 감염의 위험이 높습니다.
화상부위는 화상을 당한 즉시 흐르는 차가운 물로 식혀야 하는데요,
만일 옷을 입은 채로 화상을 당했다면 집에서
무리하게 벗기다가 피부에 손상이 올 수 있으므로,
우선 찬물을 옷 위에 흘려 열을 식힌 뒤 심각하다면 병원으로 가는 것이 좋습니다.
화상연고의 경우 화상 부위의 열이 다 식었을 때 바르는 것입니다.

2.jpg


이가 빠지면 휴지에 싸서 병원으로 간다
사고로 치아가 빠지면 대부분 휴지나 손수건에 싸서 병원에 가져가는데요,
이는 잘못된 응급 상식입니다.
치아를 건조하게 두면 세포가 죽어 재식(再植)할 수 없으므로,
치아가 뽑히면 당황하지 말고 찬 물에 헹군 뒤 빠진 자리에 다시 밀어 넣고,
위치를 맞추기 힘들 때는 찬 우유나 생리식염수에 담아 1시간 안에 병원으로 가져가도록 합니다

3.jpg



피가 많이 나는 곳에 지혈제를 바른다
출혈이 있을 때 우선 피를 멈추게 하려고 지혈제
가루를 뿌리는 경우가 있는데요,
지혈제 가루가 피와 함께 굳게 되면 사후 처치시 닦아내는데
시간이 걸릴 수 있어 치료가 늦어지게 됩니다.
그렇기 때문에 되도록 지혈제를 사용하지 말고요,
단지 출혈이 멈추지 않을 경우 제한적으로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4.jpg


사망의 원인 중에서 교통사고에 의한 사망보다
심장마비로 인한 사망이 더 많다고 합니다.
갑자기 심장마비에 온 환자를 발견하면 병원에 가기전에
사망할 수 있을 정도로 위급한 상황입니다.
위급한 상황에서 주변인이 목숨을 구할 수 있는데 그 방법이 심폐소생술입니다.
심폐소생술에서 사람의 의식을 확인하기 위해서 뺨을 때리거나
몸을 흔드는 행동을 하면 안됩니다.
간단히 어깨를 쳐서 의식을 확인하고 정해진 순서에 따라 심폐소생술을 진행해야합니다.

5.jpg

많이들당황하시는음식에 의한 질식시
성인의 경우 기도는 옥수수알이 들어가도 막힐정도로 작습니다.
어린아이의 경우는 더 작구요.
그래서 음식을 잘못먹다가 기도로 넘어가 질식사 하는 경우가 생기는데,
재빠르게 응급처치를 하여 기도에 막힌 음식물을 빼낸다면
위험한 상황에서 벗어날 수 있습니다.

6.jpg


잘못된 응급 상식.
제대로 알면 생활 속에서 도움이 되니 꼭 알아두시기 바랍니다
앞에어떤일들이 생길지 모르니 충분히 숙지를 하고
계시어 응급상황시
꼭 도움이 되는 사람이 되도록해요^^
이상 포스팅 마칠께요 ^^


※누구든지 정보통신망을 통해서 음란한 부호·문언·음향·화상 또는 영상을 배포·판매·임대하거나 공공연하게 전시하는 등의 방법으로 유통한 자는 처벌을 받을수 있습니다.
※아동·청소년이용음란물(아동포르노)을 제작·배포·소지한 자는 처벌을 받을 수 있습니다.
※타인이 촬영/창작/제작한 사진이나 이미지 또는 문구 등을 무단으로 복제하여 게재하거나 허가 없이 링크를 무단으로 사용하는 경우 저작권 침해에 해당합니다.

Atachment
첨부 '6'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10 알레르기성 비염 예방하기 file 미니아나운서 2015.07.16 619
209 생활에 지장을 주는 어깨통증 예방법 file 미니아나운서 2015.07.16 735
208 언제나 쉬지 못하는 뇌를 건강하게 만들기 file 미니아나운서 2015.07.16 743
207 있을 때 잘 관리해야 하는 머리카락, 탈모 예방법 file 미니아나운서 2015.07.17 806
206 심각한 통증이 오는 목디스크 미리 예방하기 file 미니아나운서 2015.07.17 765
205 여자들의 소중한 가슴, 유방암 예방법 file 미니아나운서 2015.07.17 824
204 치아 건강에 좋은 음식 file 미니아나운서 2015.08.01 813
203 건강한 아침, 아침에 먹으면 안 좋은 음식! file 미니아나운서 2015.08.01 1241
202 여성 갱년기 건강하게 극복하기 file 미니아나운서 2015.08.01 565
201 치매 주의! 기억력 좋아지는 방법 file 미니아나운서 2015.08.07 833
200 얼마 남지 않은 수능! 컨디션 조절하는 방법 file 미니아나운서 2015.08.07 511
199 암 예방에 좋은 음식 file 미니아나운서 2015.08.07 969
198 평소 주식으로 먹는 탄수화물, 탄수화물 중독 주의! file 미니아나운서 2015.08.08 674
197 물을 건강하게 마시는 방법 file 미니아나운서 2015.08.08 727
196 건강에 있어서 중요한 쾌변 제대로 알기! file 미니아나운서 2015.08.08 755
195 침묵의 장기! 간을 건강하게 지키는 방법 file 미니아나운서 2015.08.09 711
194 몸에 좋지 않은 음주! 건강한 음주 방법 file 미니아나운서 2015.08.09 766
193 밥 먹고 꼭 가는 카페! 커피가 몸에 미치는 영향 file 미니아나운서 2015.08.09 805
192 가장 위험한 감염 질환 '결핵' 예방하기 file 미니아나운서 2015.08.13 554
191 가상과 현실을 구분 못하는 '리셋 증후군' file 미니아나운서 2015.08.13 721
Board Pagination Prev 1 ...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 56 Next
/ 56
.
2014 info.pipa.co.kr - All Rights Reserved.
사업자등록번호: 617-81-73616 | 대표이사 : 최용창 | 정보관리책임자 : 박찬웅 webmaster@pipa.co.kr
Tel)051-628-7728 본사 : 부산시 해운대구 우동 1470 에이스하이테크21 702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