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anner1
한국어


.

조회 수 3801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요즘 노인 분들 중에는 꾸준한 건강관리로
여느 젊은 분들 못지 않은 체력을 자랑하시는 분들이 많으신데요!
노인건강관리 어떻게 하면 좋을까요
오늘 노인건강관리 중 가장 중요한 부분인
노인분들의 영양관리에 대해 알려드리겠습니다

11.jpg


몸은 줄어도 줄지 않는 영양소 요구량
70세가 되면 보통 신장과 폐의 무게는 10%가 간은 18%,
그리고 뼈와 근육의 무게는 40%나 줄어 든다고 합니다.
또한 나이가 들면 신진대사도 줄어들어 대사량이
성인보다 20% 정도 감소한다고 하는데요!
그렇기 때문에 노인들에게는 칼로리 요구량이 줄어들고
체내 지방량이 늘며 근육이 줄어들게 됩니다.
이처럼 대사량과 칼로리 요구량이 줄어듦에도 불구하고,
노인들은 젊은 성인과 같은 양과 종류의 영양소를 필요로 하게 됩니다.

22.jpg


그런데 나이가 들면 소화액이 적게 분비되고
음식물의 위장관 통과가 지연되기 때문에
영양소의 흡수율이 줄어들고, 그 이용률 또한 나빠집니다.
또한 노인들은 보통 구강질환이나 치아에 문제가 많은데
이로 이해 영양소를 고루 섭취하기 어렵게 되지요…

33.jpg


특히 노인분들에게 부족하기 쉬운 영양소가 있습니다.
그 하나는 칼슘인데요 대부분의 사람들이 우유나 유제품은
아기와 어린이를 이한 식품으로만 알고 있습니다.
그러나 많은 노인들에서 칼슘이 부족하기 때문에 골다공증이 나타납니다.
칼슘 권장량은 1일 800mg, 노인이 건강한 뼈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저지방 우유나 저지방 유제품, 녹색잎 채소, 정어리 통조림 등 노인에게
좋은 칼슘 보급원을 적극 섭취해야 한답니다!!

44.jpg


많은 연구 결과~ 노인분들, 특히 건강이 좋지 않은
노인분들은 아연이 부족하다고 합니다.
아연이 부족하면 상처 치유가 느려지고
피부염, 면역력, 감소 등이 나타나며 미각이 저하 또는 상실됩니다.
아연 보급제가 있지만 너무 과량 복용하는 것도 바람직하지는 않습니다.
아연은 주로 굴, 물고기, 게살, 소고기, 닭고기 등에 많이 들어 있답니다!.


55.jpg

섬유질 또한 노인분들에게 부족하기 쉽습니다.
섬유질은 체내에서 소화되지 않지만 노인들의 건강에 중요합니다.
섬유질이 과량의 콜레스테롤과 결합하여 배설되며
변을 무르게 하여 변비를 예방하기 때문입니다

66.jpg

노인분들은 수분 섭취량이 부족하기 쉽습니다!
나이가 들면 정상적인 갈증 기전이 감소하게 되거든요!
그 결과 많은 노인분들이 갈증을 잘 느끼지 않게 되는데요~
더구나 어떤 노인분들은 요실금 같은 비뇨기 질환으로 인해
수분섭취를 의식적으로 꺼려하는 분들이 많습니다.
수분 섭취 부족으로 인한 탈수 증상은 쉽게 나타나며 현기증이 나타나고
소변이 진해 질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물은 신진대사의 필수요소이기 때문에
노인분들은 하루 6-8잔의 물을 마셔야 한다고 합니다

77.jpg


노인건강관리에 대한 정보 중 영양상태에
대해서 확인하셨나요 도움이 좀 되셨나요
어르신들 집안에만 계시지 말고 밖에 나와서 운동도 하고
다양한 영양소를 섭취하여 건강한 체력 유지하시길 바라겠습니다.
노인건강관리 중 영양관리에 대해 알려드렸습니다.
감사합니다.!


※누구든지 정보통신망을 통해서 음란한 부호·문언·음향·화상 또는 영상을 배포·판매·임대하거나 공공연하게 전시하는 등의 방법으로 유통한 자는 처벌을 받을수 있습니다.
※아동·청소년이용음란물(아동포르노)을 제작·배포·소지한 자는 처벌을 받을 수 있습니다.
※타인이 촬영/창작/제작한 사진이나 이미지 또는 문구 등을 무단으로 복제하여 게재하거나 허가 없이 링크를 무단으로 사용하는 경우 저작권 침해에 해당합니다.

Atachment
첨부 '7'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890 괴로운 관자놀이 통증, 해결방법 file 미니아나운서 2015.07.10 1583
889 목이 칼칼할 때 좋은 대처법 file 미니아나운서 2015.07.10 1757
888 무더운 여름철 건강 관리 방법 file 미니아나운서 2015.07.09 491
887 아침에 붓기 빼는 법 file 미니아나운서 2015.07.09 1679
886 장마철 제습 방법 file 미니아나운서 2015.07.09 771
885 생명을 위협하는 모기에 안 물리는 방법 file 미니아나운서 2015.06.26 921
884 다리에 쥐가 자주 나는 이유 file 미니아나운서 2015.06.26 3893
883 눈이 침침할 때 대처하는 방법 file 미니아나운서 2015.06.26 2121
882 술 마신 후에 오는 근육통의 원인 file 미니아나운서 2015.06.24 2459
881 비염, 음식으로 치료하자! file 미니아나운서 2015.06.24 753
880 양파즙은 만병 통치약! file 미니아나운서 2015.06.24 973
879 항암환자에게 아주아주 좋은 과일인 머루의 건강정보! file 콩지콩머겅 2015.06.23 1389
878 멍게 처럼 생긴 독특한 열매인 람부탄 file 콩지콩머겅 2015.06.23 1477
877 과실 종류인 다래 ! 어떤 효능을 가지고 있을까? file 콩지콩머겅 2015.06.23 1576
876 여름철 주의! 냉방병 예방하기 file 미니아나운서 2015.06.23 341
875 괴로운 변비 탈출하기 file 미니아나운서 2015.06.23 530
874 치매, 미리 예방하자! 기억력을 높이는 생활습관 file 미니아나운서 2015.06.23 487
873 담백한 맛이 아주 일품이에요 호두의 효능 file 콩지콩머겅 2015.06.22 424
872 상큼한 라임이 가지는 건강에 미치는 정보들 file 콩지콩머겅 2015.06.22 782
871 태양이 뜨거워져서 올라오는 주근깨들 ! 주근깨 없애는 방법 file 콩지콩머겅 2015.06.22 736
Board Pagination Prev 1 ... 7 8 9 10 11 12 13 14 15 16 ... 56 Next
/ 56
.
2014 info.pipa.co.kr - All Rights Reserved.
사업자등록번호: 617-81-73616 | 대표이사 : 최용창 | 정보관리책임자 : 박찬웅 webmaster@pipa.co.kr
Tel)051-628-7728 본사 : 부산시 해운대구 우동 1470 에이스하이테크21 702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