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anner1
한국어


.

조회 수 2670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제가 이번에 소개해 드릴 책은 김훈 작가의 '칼의 노래'입니다.

소설 칼의 노래는 '칼', 즉 이순신 장군이 겪은 전쟁에 대한 이야기죠.

김훈 '칼의 노래'.jpg


소설에 대한 이야기를 하기 전에,

김훈 작가의 작품에 대한 포스팅이 이번이 처음인만큼

김훈 작가가 어떤 사람인지에 대해 먼저 짚고 넘어가도록 하죠^^


김훈.jpg

김훈 작가는 1948년 5월 5일 서울 태생으로,

고려대학교 영문과를 다니다 중퇴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그는 1994년 한국일보 편집국 문화부 기자로 언론계 생활을 시작해

2000년 초반 한겨레 신문을 퇴사할 때까지 신문사 기자 생활을 했습니다.

그 후 전업작가로 전환해, 지금까지 활발한 작품 활동을 이어오고 있죠.

누군가 김훈 작가에게 소설을 쓰는 이유에 대해 물었을 때,

그는 "우연하게도 내 생애가 글을 써먹게 돼 있으니까"라고 대답했죠.

그의 문체만큼이나 간단명료한 대답이 아닐수 없습니다 ^ㅡ^


이순신.jpg

그럼 이제 소설 칼의 노래에 대한 이야기를 시작하도록 하죠!

칼의 노래는, 위 사진의 주인공인 이순신 장군의 이야기입니다.

특히, 그가 직접 겪은 전쟁인 임진왜란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죠.

우리에게도 널리 알려진 명량해전, 한산도대첩, 노량해전 등을


김훈 작가 특유의 사실감 넘치는 문체로 그려내고 있습니다.


거북선.jpg

위 사진은 이순신 장군이 해전에서 자주 활용했다고 전해지는 '거북선' 모형입니다.

철갑으로 등판을 덧댄 것이 아주 든든해 보이고, 앞 쪽에 달린 용머리가

당장이라도 불을 뿜어 왜적들을 무찌를 듯 하죠


인간미.jpg

소설 칼의 노래가 독자들과 평론가들에게 좋은 평가를 받는 이유는

김훈 작가의 필력과 사실감 넘치는 독특한 문장 외에도

본 소설만이 가지는 특징인 이순신 장군의 '인간미'를 느낄 수 있다는 것에 있습니다.

우리가 보통 역사책으로 이순신 장군을 접할 때, 역사적인 사건들만을 부분부분 접했던 것에 불과하다면

소설 칼의 노래는 이순신 장군이 등장인물 '여진'과 겪는 이성간의 애정,

또한 아들을 왜적의 손에 잃었을 때 느끼는 아버지의 슬픔 등을 독자들에게

가슴깊이 느낄 수 있도록 하고 있습니다.

역사책으로 이순신 장군을 접할 때와는 다른 감동이 있겠죠


이순신 동상.jpg

광화문의 이순신 장군 동상입니다.

오랜 세월이 지난 지금까지도, 아직 우리 곁에 남아 우리를 든든하게 지켜줄 듯한 모습이 인상적이네요.


김훈 작가의 소설 '칼의 노래', 아직 읽어보지 못한 분들에게 적극 추천합니다!



※누구든지 정보통신망을 통해서 음란한 부호·문언·음향·화상 또는 영상을 배포·판매·임대하거나 공공연하게 전시하는 등의 방법으로 유통한 자는 처벌을 받을수 있습니다.
※아동·청소년이용음란물(아동포르노)을 제작·배포·소지한 자는 처벌을 받을 수 있습니다.
※타인이 촬영/창작/제작한 사진이나 이미지 또는 문구 등을 무단으로 복제하여 게재하거나 허가 없이 링크를 무단으로 사용하는 경우 저작권 침해에 해당합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40 너무 닮은 듯한 두남녀의 만남,우리들의 행복한 시간 file dltotquf 2014.06.01 2166
139 청소년들에게 바칠 수 있는 청소년을 위한 시크릿 file 아해 2014.05.15 2165
138 에드몽 로스탕의 시라노 file 비기닝 2014.05.26 2132
137 환상동화, 끝 없는 이야기 file 아해 2014.05.17 2120
136 장옥정 사랑에 살다 file inspirit1221 2014.05.15 2116
135 주먹은 꼭 써야할까? file 아해 2014.05.15 2113
134 [열림원]아프가니스탄에서의 삶, 그리고 우정에 대한 이야기! 연을 쫓는 아이 file 2014.05.10 2109
133 [새움] 대한민국의 한의 역사를 추적한다 - 천년의 금서 file 2014.05.06 2105
132 사랑맏지 못한 어글리- 그래 괜찮아 모든 것이! file 아해 2014.05.08 2094
131 죽음이란 무엇인가? file rnalstj 2014.05.10 2092
130 에릭 엠마누엘 슈미트의 '신에게 보내는 편지' file 비기닝 2014.06.01 2083
129 나쁜 사마리아인들...장하준 file 클라라 2014.05.19 2079
128 30년 전으로 돌아갈 수 있는 기회! 당신, 거기 있어 줄래요 file inspirit1221 2014.05.10 2068
127 [알마] 크리에이티브 디렉터 박웅현의 광고는 어떻게 만들어 졌을까? - 인문학으로 광고하다 file 2014.05.13 2066
126 필독도서 목록들에 대한 짧은 소개 file 아해 2014.05.16 2060
125 당신 옆을 스쳐간 그 소녀 이름은 file inspirit1221 2014.05.17 2056
124 스무살에 했더라면 좋았을 습관 file rnalstj 2014.05.10 2042
123 린인 베스트셀러 아세요?^^ file rnalstj 2014.05.10 2036
122 독이되는 부모 수잔 포워드 file erikoh 2014.06.01 2027
121 12월의 추천 도서: 제3인류 file rnalstj 2014.05.10 2024
Board Pagination Prev 1 ... 5 6 7 8 9 10 11 12 13 14 ... 16 Next
/ 16
.
2014 info.pipa.co.kr - All Rights Reserved.
사업자등록번호: 617-81-73616 | 대표이사 : 최용창 | 정보관리책임자 : 박찬웅 webmaster@pipa.co.kr
Tel)051-628-7728 본사 : 부산시 해운대구 우동 1470 에이스하이테크21 702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