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anner1
한국어


.

조회 수 869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시·도 중 세종, 시·군·구 중 광주시 광산구 가장 젊어
 


우리나라 주민등록 인구의 평균연령이 9년 사이에 4.2세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행정자치부는 올해 3월말 현재 우리나라 주민등록 인구의 평균연령은 41.2세로 조사됐다고 20일 밝혔다.

주민등록 인구통계 시스템으로 처음 집계가 이뤄진 2008년 평균연령은 37.0세였으나 2014년 처음 40대에 진입했고 3년 사이에 1.2세 더 늘어났다.

시·도 중에서 가장 젊은 곳은 세종시로 평균연령이 36.8세였다. 반면, 전남은 평균연령이 44.7세를 기록해 가장 높았다.

전국 평균연령보다 낮은 지역은 세종(36.8세), 울산(39.1세), 광주(39.2세), 경기(39.4세), 대전(39.6세), 인천(40.1세), 제주(40.6세) 7개 시·도였다.

평균연령보다 높은 지역은 전남(44.7세), 경북(44.0세), 강원(43.7세), 전북(43.2세), 부산(42.9세) 등 10개 시도로 조사됐다.

2008년 첫 조사와 비교했을 때 평균연령이 줄어든 지역은 세종(3.6세 감소) 한 곳 뿐이었다.

강원, 부산, 대구는 평균연령이 각각 4.5세씩 올라 가장 많이 늘었다.

시·군·구 중에서는 광주 광산구의 평균연령이 36.0세로 가장 낮았고 경기 화성(36.1세), 오산(36.2세), 울산 북구(36.4세) 등이 뒤를 이었다.


전체 시군구 226곳 가운데 전국 평균연령보다 낮은 곳은 75개 지역(33.2%)이었다

평균연령이 가장 높은 곳은 경북 의성(55.1세)이었다. 군위(54.7세), 전남 고흥(54.0세), 경남 합천(53.7세) 등 총 151개(66.8%) 지역은 평균연령보다 높았다.

2008년보다 평균연령이 낮아진 시군구는 부산 강서구(4.3세 감소), 기장군(0.1세 감소) 등 두 곳뿐이었다.

평균연령을 지역별로 비교해 보면 시 지역이 40.2세로 상대적으로 낮았고 구 지역도 41.0세로 전국 평균을 밑돌았다.

반면, 군 지역의 평균연령은 47.2세로 전체 주민등록 인구의 평균연령보다 6.0세 높았다.

한편 3월말 현재 우리나라의 주민등록 인구는 5171만 4935명으로 2월말보다 2714명(0.01%)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거주자가 전체의 99.01%인 5120만 2984명이고 거주불명자는 46만 3026명(0.90%), 재외국민은 4만 8925명(0.09%)이었다.

한 달 사이에 경기(1만 2717명), 세종(3578명), 충남(2403명), 제주(1188명), 인천(364명) 등 5개 시도의 인구가 늘어났다.

반면 서울에서 가장 많은 4444명이 줄었고 부산(2437명 감소), 경북(1785명 감소), 대전(1688명 감소), 전북(1470명 감소) 등 10개 시도의 인구가 감소했다.

주민등록 세대 수는 2138만 1346세대로 2월과 비교해 2만 9059세대가 증가했다. 세대당 인구는 2.42명이다


123955.jpg




※누구든지 정보통신망을 통해서 음란한 부호·문언·음향·화상 또는 영상을 배포·판매·임대하거나 공공연하게 전시하는 등의 방법으로 유통한 자는 처벌을 받을수 있습니다.
※아동·청소년이용음란물(아동포르노)을 제작·배포·소지한 자는 처벌을 받을 수 있습니다.
※타인이 촬영/창작/제작한 사진이나 이미지 또는 문구 등을 무단으로 복제하여 게재하거나 허가 없이 링크를 무단으로 사용하는 경우 저작권 침해에 해당합니다.

Atachment
첨부 '1'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930 괴로운 관자놀이 통증, 해결방법 file 미니아나운서 2015.07.10 1593
929 괴로운 변비 탈출하기 file 미니아나운서 2015.06.23 532
928 구강건조증은 왜 생기는 걸까요? file 미니아나운서 2016.01.05 585
927 구강암 증상,원인,예방법 알아보아요 file rnalstj 2014.05.12 5668
926 구강질환 예방하기 file 미니아나운서 2015.02.11 386
925 구내염에 걸렸을때 좋은 음식 file 별똥별 2014.08.03 3763
924 국내 자생버섯이라고 불리는 능이버섯의효능 file 기리니닐 2014.05.11 8352
923 궁합이 맞지 않는 음식!!! file inspirit1221 2014.05.06 4332
922 귀한 약재로 대접 받는 '탱자' file 미니아나운서 2015.02.22 1168
921 귤과는 또 다른 한라봉의 효능 file 냉채족발 2014.05.11 6278
920 귤의 효능 칼로리 및 귤껍질활용법 file 아해 2014.05.15 4391
919 그냥 배추가 아니라 곰보 배추! file 냉채족발 2014.05.09 5744
918 근육통 빨리 푸는 법 file 미니아나운서 2015.03.02 1830
917 금단현상에 대해 자세하게 알아보기 file 별똥별 2014.08.03 3267
916 금속 알레르기 예방하는 비법! file 미니아나운서 2016.01.12 937
915 금연에 좋은 음식 file 찌니 2014.05.01 4827
914 기관지 질환의 1+1! 가래를 없애자 file 냉채족발 2014.09.11 1356
913 기관지에 좋은 역할을 하는 더덕의 효능 file 기리니닐 2014.05.11 13990
912 기력회복에 좋은 음식들. file 미니아나운서 2015.01.04 1308
911 기미 없애는 방법! file 찌니 2014.05.09 4427
Board Pagination Prev 1 ... 5 6 7 8 9 10 11 12 13 14 ... 56 Next
/ 56
.
2014 info.pipa.co.kr - All Rights Reserved.
사업자등록번호: 617-81-73616 | 대표이사 : 최용창 | 정보관리책임자 : 박찬웅 webmaster@pipa.co.kr
Tel)051-628-7728 본사 : 부산시 해운대구 우동 1470 에이스하이테크21 702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