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anner1
한국어


.

조회 수 9875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건보공단, 건강보험 빅데이터 발표



국민건강보험공단(이사장 김용익)이 건강보험 빅데이터를 분석한 결과를 21일 발표했다.

2011년~2016년 ‘호흡기결핵’ 질환으로 진료받은 인원은 2011년 8만5260명에서 2016년 6만7784명으로 연평균 4.5% 감소하였다.

2016년 기준 총 진료 인원은 남성 4만0248명, 여성 2만7536명으로 남성이 여성에 비해 1.5배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성별로는 남성은 인구 10만명당 158명, 여성은 인구 10만명당 109명으로 인구수를 고려하여도 남성이 여성보다 많았다.

2016년 기준 연령대별 진료 현황을 살펴보면 70대 이상(2만1000명, 30.8%)이 가장 많았고, 그 다음 50대(1만2000명, 18.0%), 60대(1만1000명, 16.1%) 순으로 나타났다.

남성은 70대 이상(1만1000명, 27.3%)이 가장 많았고, 50대(8400명, 21.0%), 60대(7500명, 18.6%) 순이며, 여성은 70대 이상(9900명, 36.1%)이 가장 많았고, 50대(3800명, 13.7%), 60대(3400명, 12.5%) 순으로 나타났다.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호흡기내과 한창훈 교수는 노인 70대 이상 환자가 가장 많은 이유에 대해 “결핵균에 감염이 되어도 모두 발병하는 것은 아니나 당뇨, 영양실조, 만성질환이 있어 면역기능이 떨어진 사람은 발병의 위험이 크다”며 “노인의 경우 만성 질환을 갖고 있는 경우가 많고 노화로 면역기능이 저하되어 있으므로 노인에게 결핵이 많이 발생하게 된다”고 설명하였다.

또한 한 교수는 호흡기결핵 질환을 치료하지 않고 방치 시 문제점에 대해 “결핵을 치료하지 않으면 지속적으로 타인에게 전염을 시키게 되며 폐를 비롯한 감염 조직의 파괴가 동반되어 심각한 신체 기능 장애를 남길 수 있고 사망에 이르게 할 수 있는 심각한 질환이다”고 밝혔다.

2016년 인구 10만명당 진료 인원을 연령대별로 살펴보면 남성은 70대 이상이 627명으로 가장 많고, 60대 297명, 50대 204명 순이며, 여성은 70대 이상이 387명으로 가장 많고, 60대 129명, 50대 92명 순으로 나타났다.

한창훈 교수는 호흡기결핵 여성 환자 보다 남성 환자가 많은 이유에 대해 “남성 흡연율이 높고 사회생활이 많은 것이 요인이 될 수 있고 사회 문화적 요인 등 여러 요인이 관련되어 있을 것 같다”고 밝혔다.

또한 한 교수는 “50대~70대 이상 환자가 많은 이유는 나이가 들수록 만성질환은 많아지고 면역기능 저하가 나타나며 결핵은 전염병이므로 나이가 들수록 결핵균에 노출될 가능성이 비례해서 높아질 것이다”며 “젊어서 결핵균에 감염된 사람이 시간이 지나면서 면역기능이 저하되어 발병할 수 있고 결핵을 앓은 사람이 결핵의 재활성화에 의해 다시 결핵이 발병할 수 있으므로 나이에 따른 증가가 나타날 수 있다”고 덧붙였다.

2011년부터 2016년까지 ‘호흡기결핵’ 질환의 진료비 추이를 살펴보면 2011년 962억원에서 2016년 1230억원으로 269억원이 증가하여 연평균 5.0%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동일 기간에 입원의 진료비는 647억원에서 910억원으로 연평균 7.1% 증가하였고, 외래의 진료비는 315억원에서 320억원으로 연평균 0.3% 증가하였다.


※누구든지 정보통신망을 통해서 음란한 부호·문언·음향·화상 또는 영상을 배포·판매·임대하거나 공공연하게 전시하는 등의 방법으로 유통한 자는 처벌을 받을수 있습니다.
※아동·청소년이용음란물(아동포르노)을 제작·배포·소지한 자는 처벌을 받을 수 있습니다.
※타인이 촬영/창작/제작한 사진이나 이미지 또는 문구 등을 무단으로 복제하여 게재하거나 허가 없이 링크를 무단으로 사용하는 경우 저작권 침해에 해당합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30 충치 없내는 방법, 입냄새 없애는 방법 file 미니아나운서 2015.02.15 748
129 모발로 중금속 중독 체크 & 중금속 예방법 file 미니아나운서 2015.01.11 745
128 언제나 쉬지 못하는 뇌를 건강하게 만들기 file 미니아나운서 2015.07.16 743
127 바닷속에서 자라는 진주, 조개의 여라가지의 효능들 file 콩지콩머겅 2015.02.02 740
126 우리의 뇌를 망치는 것들 file 미니아나운서 2016.01.14 736
125 태양이 뜨거워져서 올라오는 주근깨들 ! 주근깨 없애는 방법 file 콩지콩머겅 2015.06.22 736
124 새까만 알이 총총 흑마늘은 어디에 좋을까? file 콩지콩머겅 2014.12.07 736
123 생활에 지장을 주는 어깨통증 예방법 file 미니아나운서 2015.07.16 735
122 겨울철 주의! '폐렴'의 원인 file 미니아나운서 2015.12.19 734
121 건강한 내 몸을 위한 일상생활 스트레칭! file 미니아나운서 2014.11.18 734
120 백해무익! 담배 끊는 방법 file 미니아나운서 2015.11.11 733
119 물을 건강하게 마시는 방법 file 미니아나운서 2015.08.08 727
118 환절기 감기 예방법 file 미니아나운서 2015.09.21 723
117 가상과 현실을 구분 못하는 '리셋 증후군' file 미니아나운서 2015.08.13 721
116 여름철 피서 과한 음식 섭취로 인한 소화불량 해결하기! file 미니아나운서 2015.07.15 719
115 무궁무진한 사과의 효능 file 별똥별 2014.12.31 718
114 건강해 지고 싶으면 달려라 ! 러닝의 효능 file 콩지콩머겅 2015.05.18 717
113 환절기 감기에 걸리지 않는 방법 file 미니아나운서 2015.03.16 716
112 밥 싸먹기에는 딱 좋은 김 ! 대단한 효능이 ? file 콩지콩머겅 2015.02.06 715
111 반찬으로 딱인 부추의 효능 file 콩지콩머겅 2015.01.29 715
Board Pagination Prev 1 ...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 56 Next
/ 56
.
2014 info.pipa.co.kr - All Rights Reserved.
사업자등록번호: 617-81-73616 | 대표이사 : 최용창 | 정보관리책임자 : 박찬웅 webmaster@pipa.co.kr
Tel)051-628-7728 본사 : 부산시 해운대구 우동 1470 에이스하이테크21 702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