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번 글에서 말씀드렸다시피
요즘 카드사의 고객정보 유출로
많은 분들이 우려하고 계시는데요,
이번 사건의 경우
금융사들의 대처가 매우 안이했다고 지적돼
국민들의 분노를 더하고 있습니다.

지난해 12월 시중은행인
SC제일은행과 한국씨티은행에서
고객정보가 유출된 사실이
이번 사건과 관련해 최초로 확인됐었는데요,
이 때 금융당국은 강력하게 대응하지 않았습니다.

금융감독원이 해당 은행에 대해
특별검사를 시작한 것은 시간이 한참 지난
이번달 17일 입니다.
금융감독원은 금융회사에서 유츌된 것으로 의심되는
개인정보 127만 건에 대해 금융회사가
자체적으로 점검하도록 했습니다.

반면 통신회사들의 경우에는 사정이 다른데요,
이번에 카드사와 관련한 사건의 경우
매출액의 1%를 과징금으로 적용하도록 한 법안이
아직까지 개정 계획인 것에 반해
통신사들의 경우에는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지난 2008년 12월
위와 같은 법안이 도입됐었습니다.
5년의 차이를 보이고 있죠.
이로 인해 금융사들의 경우에는 더욱 높은 강도의
비판을 피할 수 없게 됐습니다.

금융위원회에서 발표한 대책 역시
국민들의 비판이 거세지자
급하게 만들어 나오게 된 대책이 아닌가 하는 의혹을 받고 있습니다.
17일 태스크포스(TF) 팀이 구성된 뒤
5일 만에 대책이 발표됐기 때문이죠.
이로 인해 확실한 검토 끝에 나온 대책이 아닌
당장의 비판을 피하기에만 급급한
짧은 안목의 대책이 아닌가하는 비판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금융사의 경우
자본주의 사회에서 국민들의 경제 상황과
직접적으로 연관되는 일이 많기 때문에,
불미스러운 일이 터지면 많은 사람들이
더욱 민감하게 반응하기 마련인데요,
앞으로는 고객들의 개인정보 보호에
총력을 기울여주길 기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