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anner1
한국어


.

조회 수 9229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ugcCA1TYGIB.jpgugcCA2G64L4.jpg

올해 들어 수도권을 중심으로 고농도 미세먼지 발생 사례가 자주 있고,

특히 125() 16시 서울에 미세먼지 주의보 발령되었어요..ㅠㅠ

미세먼지는 무엇인지 제대로 알고 잘 대처 하면 건강한 겨울을 보낼 수 있지 않을까요^^

ugcCA1J6TUC.jpg

우선미세 먼지란 지름 10이하인 먼지를 말해요....이러한 작은 입자는

사람의 폐포까지 깊숙하게 침투해 각종 호흡기 질환의 직접적인 원인이 되며

특히 연소작용에 의해 발생하므로 황산염, 질산염, 암모니아 등의

이온 성분과 금속화합물, 탄소화합물 등 유해물질로 이뤄져 있어요...

이러니..당연히 몸에는 해롭겠죠...ㅡ ㅡ

ugcCATI71E0.jpg

이러한 미세먼지의 원인은 중국 석탄사용(에너지의 70%)의 증가 등으로 인하여

중국(베이징) 고농도 사례별로 국내 농도에 연계되어 영향을 미친다고 합니다....

여기에 국내에서 자체 배출된 오염물질과

계절적 요, 기상 여건 등이 상호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고농도가 발생되는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고 합니다.

ugcCA6WB67J.jpg

이러한 미세먼지가 인체에 미치는 영향은 생각보다 큽니다.

미세먼지에는 먼지핵에 여러종류의 오염물질이 엉겨 붙어 구성된 것으로

입자가 작을수록 유해하고요....

ugcCAM1F49D.jpg

이러한 작은 입자는 결막염, 알레르기 피부염, 혈전 만들고

세포 손상시켜 뇌졸중·치매 유발, 태아 성장 장애도 유발한다고 합니다.


그러니 임산부는 외출을 삼가 해 주세요..

또한 입자가 미세할수록 코 점막을 통해 걸러지지 않고

흡입 시 폐포까지 직접 침투하여 천식이나

폐질환 유병률, 조기사망률도 높인다고 합니다.

ugcCAT7W30I.jpg

미세먼지에 대한 예보는 아래와 같이 구분하여 알려줍니다.

농도에 따른 행동요령도 자세히 살펴보시고 꼭 숙지 하셔서 건강지키세요...^^

아참..그리고 인터넷 간단하게 미세먼지 농도를 알 수 있어요...

아래의 주소 참고하세요...^^

에어코리아(www.airkorea.or.kr)

ugcCATDH15D.jpg

세먼지 높은 날 건강 생활 수칙을 아래와 같이 요약했으니

가정에서나 회사에서나

건강지키세요...^^

등산, 축구 등 오랜 실외 활동을 자제하고,

특히 어린이, 노약자, 호흡기 및 심폐질환자 는 가급적 실외활동 자제

학교나 유치원은 실내 체육수업으로 대체 권고

실외 활동 시에는 마스크, 보호안경, 모자 등 착용

창문을 닫고, 빨래는 실내에서 건조

세면을 자주하고, 흐르는 물에 코를 자주 세척

가급적 대중교통을 이용하고, 야외 바비큐 등 자제

ugcCAZK32BC.jpgugcCARB6547.jpg


※누구든지 정보통신망을 통해서 음란한 부호·문언·음향·화상 또는 영상을 배포·판매·임대하거나 공공연하게 전시하는 등의 방법으로 유통한 자는 처벌을 받을수 있습니다.
※아동·청소년이용음란물(아동포르노)을 제작·배포·소지한 자는 처벌을 받을 수 있습니다.
※타인이 촬영/창작/제작한 사진이나 이미지 또는 문구 등을 무단으로 복제하여 게재하거나 허가 없이 링크를 무단으로 사용하는 경우 저작권 침해에 해당합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990 겨울 감기에 탁월한 생강차, 건강정보 알기 file 콩지콩머겅 2014.12.06 764
989 겨울 제철 음식~바르게 먹기! file 검은망토츄 2014.05.12 10574
988 겨울에 맛이 좋다는 삼치의 효능 file 미니아나운서 2015.02.20 565
987 겨울에 왠지 모르게 땡기는 귤, 어떤 효과가 있을까? file 콩지콩머겅 2014.12.08 900
986 겨울의 추위를 이겨내기 위한 몸에 좋은 음식. file 미니아나운서 2014.11.21 790
985 겨울제철음식 과메기의 효능 file 별똥별 2014.12.31 1064
984 겨울철 감염병, 이렇게 예방하세요! file 카스맨 2016.11.25 842
983 겨울철 건강관리 신경쓰셔햐 하지않을까요? file rnalstj 2014.05.07 6061
982 겨울철 건강관리&감기에 좋은 음식들 file rnalstj 2014.05.07 19969
981 겨울철 건강레포츠 file rnalstj 2014.05.10 3112
980 겨울철 급증하는 불면증 . 불면증에 좋은 생활습관 , 음식 file dmswls92 2014.05.14 8906
979 겨울철 기관지 관리법 file 미니아나운서 2015.01.10 616
978 겨울철 맛있게 먹는 고구마의 효능 file 예그리니 2014.05.17 3762
977 겨울철 면역력을 높여주는 좋은 음식!!! file inspirit1221 2014.05.10 3267
976 겨울철 목 건강 지키기 file 미니아나운서 2015.11.05 610
975 겨울철 몸보신 음식들! file 아해 2014.05.12 6803
974 겨울철 보양차 , 꿀대추차의 효능 file 미니아나운서 2015.03.04 3587
973 겨울철 생선, 가자미의 효능 file 별똥별 2014.12.31 3343
972 겨울철 세균 많은 솜이불 세탁법 file 미니아나운서 2015.12.25 4130
971 겨울철 스테미너 음식에 대해 알아볼까요? file 별똥별 2014.07.28 2837
Board Pagination Prev 1 ... 2 3 4 5 6 7 8 9 10 11 ... 56 Next
/ 56
.
2014 info.pipa.co.kr - All Rights Reserved.
사업자등록번호: 617-81-73616 | 대표이사 : 최용창 | 정보관리책임자 : 박찬웅 webmaster@pipa.co.kr
Tel)051-628-7728 본사 : 부산시 해운대구 우동 1470 에이스하이테크21 702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