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anner1
한국어


.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사람풍경표지.jpg
사람풍경이라는 책은 여행을 하면서 만난 사람들의 심리를
볼 수 있는 책입니다. 저는 심리여행에세이 사람풍경을 쓴김형경 작가의
행보가 조금 색다르다고 생각했었는데요.국어국문학과를 나와서
심리학에 관심을 갖고 개인적으로공부하기 시작해서 심리에 대한 책을
쓴다는 것이 신기했습니다.하지만 검색해 보니 다른 작가들처럼 심리에 대해 학위를
받거나전문적으로 공부한 경력은 없다고 나옵니다.

김형경.jpg

단순히 관심을 갖고 공부한 심리학을 책으로 쓸 수 있을 만큼 좋아했던 거죠!
이 점이 저에게는 작가와의 거리를 좁혀줬던 것 같습니다.
굳이 학위를 따지 않아도, 내가 좋아서 공부한 것만으로도
인정을 받을 수 있다는 생각이 들었기 때문에 반가웠기 때문입니다. 또한
그렇기 때문에 너무 전문적으로 들어가지 않고 심리학 용어가
나오더라도 꼭 설명을 해주기 때문입니다.

사람풍경 그림.jpg

사람풍경이라는 책의 특징은 작가가여행하면서 만난 사람들과
있었던 일을 바탕으로 자신을 들여다 보는 것입니다. 그 가운데서 그녀는 책의
가장 처음에 카타콤에 대한 이야기를 했는대요, 처음에는 무슨 말인지 통 알수가 없습니다.
하지만 그 부분을 다시 읽다기 보다는 계속 끝까지 읽어 내려가야 처음 부분을
이해할 수 있기 때문에 쭉 읽어나가는 것을 추천합니다.

사람풍경 카타콤.jpg

카타콤은 그리스도교가 핍박받는 시대에 그리스도인들이
땅 속에 들어가서 생활했던 곳인데요. 지금은 관광용을 위해 불을
밝혀 놨지만 그 당시에는 불이 전혀 없이 깜깜했다고 합니다.
작가는 카타콤에 갔다가 나와 빛을 본 이후에 '무의식을 산다'는 생각을 합니다.
카타콤에 있을 때 아무것도 볼 수 없이 어두웠던 것이 무의식이고
빛을 보고 나온 것이 의식인 것이지요. 처음에 읽었을 때는
이해가 안갔지만 다 읽고 나니 정말 좋은 비유라는 생각이 듭니다.

사람풍경 사진.jpg

제가 사람풍경에서 가장 인상깊게 읽었던 구절은
우울에 대한 감정을 주제로 다룬 부분입니다. 작가는 우울에 대해서
"우울은 마음의 착각이며유아기의 환상이다. 우울증은 내 마음이
혼자 북치고 장구 치는 난장판이며,정신의 착오일 뿐이었다"인데요,
자신이 우울하면 극복하려고 하는 의지보다도
자신을 더욱 깎아 내리면서 자기 연민을 통해 더욱 더 우울해지려고
우리 자신은 무의식적으로 노력하는데, 그것을 깨닫게 해준 구절입니다.

사람풍경그림2.jpg

'대부분의 사람들은 세 살까지 형성된 인성을 중심으로, 여섯 살까지 배운 관계 맺기
방식을 토대로 살아간다. 개인이 겪는 심리적 문제는 이 때 생긴 무의식에서 온다.
무의식 속에서 억압되어 있는 요소들은 대체로 성격의 어두운 면,
감정의 부정적인 측면들이다. 그것을 드러내면 생존에 위협이 오고,
사회적으로 용인되지 않기 때문에 내면 깊은 곳에 억눌러 놓은 것들이다.
이것들을 치유하려면 억압되어 있는 무의식을 의식의
차원으로 끌어올려 직면하고 의식 속에 통합해야 한다.' - 책의 본문 중

쉽게 심리학적으로 자신을 들여다 보고 싶은 분들에게 추천할께요!

※누구든지 정보통신망을 통해서 음란한 부호·문언·음향·화상 또는 영상을 배포·판매·임대하거나 공공연하게 전시하는 등의 방법으로 유통한 자는 처벌을 받을수 있습니다.
※아동·청소년이용음란물(아동포르노)을 제작·배포·소지한 자는 처벌을 받을 수 있습니다.
※타인이 촬영/창작/제작한 사진이나 이미지 또는 문구 등을 무단으로 복제하여 게재하거나 허가 없이 링크를 무단으로 사용하는 경우 저작권 침해에 해당합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0 주머니 속 문학 잡지… 서울문화재단 웹진 ‘비유’ 창간 file 카스맨 2018.01.09 650
39 주먹은 꼭 써야할까? file 아해 2014.05.15 2113
38 죽어라 하고 덤비는 세상, 그러나 행복한 사람들! 레모네이드 file 비기닝 2014.05.26 11112
37 죽음이란 무엇인가? file rnalstj 2014.05.10 2092
36 지금, 당신은 미래와 마주할 준비가 되어 있습니까? '정글만리' file 비기닝 2014.06.01 2015
35 지나가버린 사랑을 다시 찾아서... 당신 거기 있어줄래요? file 2014.05.10 5041
34 지식공방, 신간 ‘대화의 향기’ 출간 file 카스맨 2017.11.17 369
33 지적 대화를 위한 넓고 얕은 지식 file 카스맨 2017.04.25 349
32 직장상사에게 화끈한 한방을! <악마는 프라다를 입는다> file 윙키 2014.06.16 4056
31 직장인을위한 지식쌓기^^ file rnalstj 2014.05.10 1859
30 진은영 시인의 두번째 시집 '우리는 매일매일' file 감자튀김 2014.06.10 3022
29 진주귀걸이를 한 소녀 file 아해 2014.05.18 3957
28 짧고 쉬운 시들 1 file 감자튀김 2014.05.10 2363
27 찾아오는 사람들의 상처를 치유해 주는 '무지개 곶의 찻집' file inspirit1221 2014.06.02 6545
26 책 속 주인공이 내 앞에??? '종이여자' file 2014.05.12 13754
25 천국의 열쇠를 아십니까. file 시민기자777 2014.05.05 3565
24 첫 승진까지 평균 3년 6개월 , '대한민국 20대 회사 사용법' file dmswls92 2014.06.07 9919
23 청소년들에게 바칠 수 있는 청소년을 위한 시크릿 file 아해 2014.05.15 2165
22 카멜북스, ‘인공지능 투자가 퀀트’ 출간 file 카스맨 2017.08.16 292
21 캐리 브래드쇼의 학창시절 꿈과 사랑을 그린 캐리 다이어리 file inspirit1221 2014.05.14 3436
Board Pagination Prev 1 ... 7 8 9 10 11 12 13 14 15 ... 16 Next
/ 16
.
2014 info.pipa.co.kr - All Rights Reserved.
사업자등록번호: 617-81-73616 | 대표이사 : 최용창 | 정보관리책임자 : 박찬웅 webmaster@pipa.co.kr
Tel)051-628-7728 본사 : 부산시 해운대구 우동 1470 에이스하이테크21 702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