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anner1
한국어


.

조회 수 9904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12_238345238_20120504171906_1350409840.jpg



건보공단 “마비 질환, 증세가 보인다면 치료가 급선무”


국민건강보험공단(이사장 김용익)이 건강보험 빅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마비(G81~G83) 질환으로 진료받은 인원은 2011년 6만명에서 2016년 7만5천명으로 늘어났으며, 진료비는 2011년 3313억원에서 2016년 6643억원으로 연 평균 14.9% 증가했다고 밝혔다.

마비 진료환자 중 재활의학과 진료를 받은 비중은 2011년 66.4%에서 2013년 70.2%로 증가하였다가 2016년 63.2%로 감소하였다.

?2016년 연령대별 진료현황을 보면 50대 이상이 전체 진료환자의 약 83.8%를 차지하고 있다.

50~70대 이상 연령층에 집중적으로 분포하고 있으며 특히 70대 이상에서는 2011년 2만2천명에 비해 2016년 3만4천명으로 약 2배 가량 급증하였다.

2016년 연령대별 인구 10만명당 진료현황을 살펴보면 70대 이상 796명, 60대 313명, 50대 152명으로 고연령층 비중이 뚜렷하게 높았다.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재활의학과 김형섭 교수는 마비의 치료 과정에서의 어려움에 대해 “운동 신경 마비로 인해 관절운동을 하지 않을 경우 관절 구축이 발생하게 된다. 이렇게 될 경우, 통증과 욕창으로 인해 침상 밖으로 벗어나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기능 회복을 위한 재활 치료가 필요하다. 그러나 많은 환자들이나 가족들이 마비를 없애기 위해 재활치료를 받지만 한 번 마비가 오면 정상이 되지 않는다. 재활치료는 마비 즉 장애를 가지고 사는 법을 배우는 것이다. 따라서 가족이나 환자들은 신경 손상에 따른 변화된 생리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재활치료를 받아야 한다”고 설명하였다.

마비 질환의 주원인에 대해 “60대 이상 부터 뇌졸중의 위험도가 높아지게 되며 낙상으로 인한 뇌진탕도 많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많은 마비 중에 뇌졸중으로 인한 편마비 및 뇌진탕 등으로 인한 사지 마비가 주원인으로 추정된다”고 밝혔다.

마비 질환으로 요양병원을 많이 찾는 이유에 대해 “급성기 재활치료가 끝나고 집이나 사회에 복귀할 수 없는 중증도 환자들이 주로 요양병원에 입원하기 때문에 이런 현상이 발생하는 것으로 보인다”고 해석하였다.

의료기관 종별 이용 현황을 살펴보면 외래환자는 종합병원 이용이 많았으며 입원환자는 요양병원 이용이 많이 분포하였다(2016년 기준). 특히 종합병원과 요양병원에서의 입원환자 증가율은 연 평균 각각4.4%, 13.8%씩 급증하였다.

전체 진료환자 중 입원환자 비중이 상급종합병원은 29.4%인데 비해 병원은 61.7%, 요양병원은 90.6%로 높게 나타났다(2016년 기준).

입원환자 1인 평균 입원일수를 비교해 본 결과, 요양병원, 병원, 종합병원, 상급종합병원 순이며 2016년 기준 1인 평균 입원일수는 요양병원이 상급종합병원의 35.6일보다 약 5배 긴 159.8일로 나타났다.

입원환자의 1인당 평균 진료비는 상급종합병원(863만원)보다 병원(1천371만원)과 요양병원(1천 565만 원)에서 더 많이 지출되었다.

입원환자 1인당 평균 진료비의 연 평균 증가율은 종합병원의 경우 3.0%인데 반해 요양병원은 7.7%로 급격히 증가하였다.


※누구든지 정보통신망을 통해서 음란한 부호·문언·음향·화상 또는 영상을 배포·판매·임대하거나 공공연하게 전시하는 등의 방법으로 유통한 자는 처벌을 받을수 있습니다.
※아동·청소년이용음란물(아동포르노)을 제작·배포·소지한 자는 처벌을 받을 수 있습니다.
※타인이 촬영/창작/제작한 사진이나 이미지 또는 문구 등을 무단으로 복제하여 게재하거나 허가 없이 링크를 무단으로 사용하는 경우 저작권 침해에 해당합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010 과일껍질 안전하게 먹는 방법 file 미니아나운서 2016.01.04 927
1009 건강해지는 첫 번째 실천, 밀가루 끊기! file 미니아나운서 2015.12.27 961
1008 얼굴 부위별 여드름의 원인 file 미니아나운서 2015.12.27 1852
1007 하와이 사람들의 건강한 습관 file 미니아나운서 2015.12.27 877
1006 임신 초기 착상혈은 언제 나올까요? file 미니아나운서 2015.12.26 3557
1005 간편하게 입술 주름 없애는 방법 file 미니아나운서 2015.12.26 3921
1004 내 피부는 건강한 피부일까? file 미니아나운서 2015.12.26 604
1003 겨울철 세균 많은 솜이불 세탁법 file 미니아나운서 2015.12.25 4130
1002 체 했을 때 좋은 음식들 file 미니아나운서 2015.12.25 1175
1001 다리 부종 빼는 방법 file 미니아나운서 2015.12.25 1005
1000 겨울철 주의! '폐렴'의 원인 file 미니아나운서 2015.12.19 736
999 무서운 췌장암 초기 증상 file 미니아나운서 2015.12.19 3997
998 건강한 다이어트, 기초대사량 높이는 다이어트 방법 file 미니아나운서 2015.12.16 912
997 생활속 실천으로 변비 해결하기 file 미니아나운서 2015.12.16 602
996 건강의 적신호, 복부비만 탈출! file 미니아나운서 2015.12.16 582
995 카페인 권장량으로 건강 지키기 file 미니아나운서 2015.12.13 857
994 위식도 역류 질환 증상 file 미니아나운서 2015.12.13 1013
993 고열이 날 때 응급처치 방법 file 미니아나운서 2015.12.13 2427
992 다래끼 빨리 낫는법 file 미니아나운서 2015.12.12 1151
991 간수치 낮추기 위한 생활습관 file 미니아나운서 2015.12.12 1813
Board Pagination Prev 1 ... 2 3 4 5 6 7 8 9 10 ... 56 Next
/ 56
.
2014 info.pipa.co.kr - All Rights Reserved.
사업자등록번호: 617-81-73616 | 대표이사 : 최용창 | 정보관리책임자 : 박찬웅 webmaster@pipa.co.kr
Tel)051-628-7728 본사 : 부산시 해운대구 우동 1470 에이스하이테크21 702호